아기 예정 접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예방접종 전 주의사항
목욕은 전날 미리 시키고 가능하면 오전에 접종을 하며 육아수첩을 가지고 가세요
예방접종 후 주의사항
접종 후 접종 부위는 잠시 눌러 주는 것으로 충분하며 접종 후 15~20 정도는 병원 대기실에서 아이의 상태를 관찰하고 집에 가면 3시간은 주의 깊게 관찰합니다
다음날까지는 너무 놀게 하지 말고 목욕을 시켜 체력손실이 오지 않게 해 주세요
접종 뒤 열이 나면 해열제를 먹이고 아침이 되면 소아과를 가는데 심하면 밤이라도 응급실로 가야 하며 DPT 접종을 하면 하루 이상 열이 지속되는 경우가 없지만 홍역 접종 후에는 7~12일 후에 열이 날 수 있습니다
소아과 협회에서 만든 제대로 된 육아수첩을 사용하고 육아수첩은 하나로 평생 기록하고 보관하는 것입니다
예방접종 시 주의사항
감기에 걸렸을 때도 예방접종이 가능한 경우가 있으니 소아과 의사를 진찰을 받아 판단합니다
접종 날짜가 며칠 늦었다고 해서 큰일 나는 것은 아니지만 BCG는 반드시 생후 4주 이내에 접종을 합니다
DPT는 5~6개월이 늦었어도 이어서 접종하고 간염 접종은 2차는 제때 접종해야 하고 3차는 조금 늦어져도 상관없으며 수두, 홍역, 볼거리, 풍진 예방접종도 늦었어도 가능하면 빠른 시일 내에 소아과 의사와 상의해서 접종하면 됩니다
미숙아는 태어난 날을 기준으로 예방접종을 하며 만일 태어났을 때의 몸무게가 2kg 미만인 아기가 B형 간염을 출생 직후에 맞았다던 이 접종을 무시하고 세 번을 다시 접종해야 합니다
예방접종 일정
태어나자마자 B형 간염 예방접종을 하고 BCG접종을 4주 이내에 합니다
만 1개월에는 B형 간염 2차 접종을 합니다
만 2개월에는 소아마비 1차 예방접종을 하며 수은방부제인 치메로살이 없고 백일해 예방 효과가 조금 더 좋다고 알려진 '인판릭스'라는 3가 DPT 백신을 접종할 수 있고, 비용만 신경 쓰지 않는다면 해모필루스 인플루엔자 b형(Hib) 뇌수막염과 폐구균 접종은 가능하면 접종하는 것이 좋습니다 로타바이러스 백신은 2,4,6개월에 세 번에 접종하는 5가 백신인 '로타택'이 있고 두 번만 접종하는 1가 백신인 '로타릭스'가 있습니다
만 4개월에는 DPT와 소아마비 2차 접종을 하며 Hib 뇌수막염과 폐구균 2차 접종을 할 수 있습니다
만 6개월에는 DPT와 소아마비 3차 예방접종을 하고 B형 간염 3차 접종과 Hib 뇌수막염과 폐구균 3차 접종을 하며 홍역 접종과 독감 예방접종을 할 수 있습니다
만 9개월에는 간염 항체 검사를 합니다
만 12~15개월에는 수두 예방접종을 하며 1차 MMR 접종을 하고 Hib 뇌수막염과 폐구균, A형 간염 접종을 합니다
만 15~18개월에는 DPT 1차 추가접종을 합니다
만 2~3세에는 일본뇌염 세 번째 접종과 A형 간염 2차 접종을 합니다
만 4~6세에는 DPT와 소아마비 2차, MMR 추가접종을 합니다
BCG 예방접종
우리나라에는 결핵 환자가 많아 결핵예방주사 BCG는 꼭 맞아야 하며 BCG를 맞은 아이는 결핵에 걸려도 뇌나 콩팥으로 바로 퍼지지 않습니다
BCG는 생후 4주 이내에 맞히는 것이 원칙이고 추가접종은 안 해도 됩니다
경피용 BCG는 일본에서 수입하는 접종약으로 접종 후 한 달이 지나면 침 자국이 18개 정도 생기는데 5년 후면 흉 자국이 많이 없어지며 대한 소아과 학회에서는 보통의 BCG로 접종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BCG를 맞은 후 흉터가 남기도 하고 임파선이 붓기도 하지만 접종해 주는 것이 훨씬 더 이익입니다
BCG 접종 부위는 접종 후 3~4주 후에는 발갛게 곪는 경우가 많은데 소독을 하거나 약을 바르지 않아도 되며 그냥 두는 것이 낫습니다
B형 간염 예방접종
B형 간염은 생후 0, 1, 6개월로 접종을 하며 엄마가 간염 보균자인 경우 출생 직후에 해파빅과 간염 예방접종을 같이 맞으며 모유를 먹여도 상관없습니다
B형 간염 접종은 종류를 바꾸어 접종해도 항체가 만들어지는 확률의 차이는 별로 없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DPT, 소아마비, 홍역, MMR, BCG, 독감 등은 간염 예방접종과 같이 맞아도 됩니다
DPT와 소아마비 예방접종
DPT는 D 디프테리아, P 백일해, T 파상풍 등의 전염병을 예방하는 주사로 3가지 약이 섞인 것을 한 번에 접종하고 소아마지 접종은 좀 더 안전한 주사로 접종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2,4,6개월에 한 번씩 기본접종을 하고 18개월에 1차 추가접종, 만 4~6세에 2차 추가접종을 합니다
예방접종은 가능하면 오전에 하고 접종 후 20분 정도 병원 대기실에서 상태를 관찰하다가 열이 나거나 경련을 하면 바로 소아과 의사에게 진찰을 받도록 합니다
접종 후에는 문지르지 말고 눌러만 주고 다음날까지는 목욕을 시키는 등 아이를 피곤하게 하지 마세요
MMR 예방접종
생후 15개월에 홍역, 볼거리, 풍진 접종을 맞은 후 4~6세에 한 번 더 맞고 홍역이 유행일 때는 생후 6개월부터 홍역 접종을 합니다
MMR 접종 기록을 제출해야 초등학교 입학이 가능하므로 접종기록을 잘 보관하고 한동안 자폐증을 유발한다는 의심을 한 적이 있는데 과학적인 연구 결과 근거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수두 예방접종
수두는 전염성이 아주 강한 병으로 일주일정도 고생하고 흉이 남게 되기도 하는데 수두균 접촉 후 보통 14~16일이 지나면 수두에 걸리게 됩니다
수두는 처음에는 감기 증세를 보이다가 2~3일 사이에 벌레 물린 것 같은 붉은 자국이 생기고 곧 투명한 물집과 진통이 동반되는데 며칠이 지나면 딱지가 지면서 회복되는데 아주 희미한 자국이 남기도 합니다
수두에 걸렸을 때 의사는 해열제를 주고 덜 가렵게 해 주며 아이가 힘들어하면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하고 칼라민이라는 분홍색 바르는 약을 처방합니다
수두에 걸리면 집에서 쉬는 게 제일이며 수두에 걸렸던 아이와는 같이 놀 수 있고 손을 자주 씻기고 긁지 못하게 하며 가벼운 목욕을 시키며 입안이 아프면 얼음 조각을 주기도 합니다
외출을 할 때는 직사광선을 피해 긴 팔을 입히고 열이 나면 해열제를 사용합니다
폐구균 예방접종
폐구균 예방접종은 뇌수막염과 패혈증 그리고 중이염과 폐렴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만 24개월 이하의 모든 아이들은 꼭 접종을 해야 하며 만 5세 이하 아이들 중에는 부모가 접종을 원하면 다 접종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접종시기는 2개월, 4개월, 6개월, 12~15개월이며 총 4회 접종을 하며 최소 접종 연령은 생후 6주이며 최소 접종간격은 12개월 이전엔 4주, 12개월 이후엔 8주입니다
24개월까지 접종을 한 번도 안 한 경우 1회만 접종하는데 고위험군인 경우 2개월 간격으로 2회 접종합니다
돌 전에는 대퇴부에 근육주사를 맞고 12~15개월에는 대퇴부 또는 팔에 근육주사를 맞습니다
약한 감기에 걸린 경우에는 접종이 가능하며 접종 후 열이 날 수 있고 보채거나 식욕이 사라질 수 있습니다
일본 뇌염 예방접종
한국에서는 백신의 동시 접종이 권장되나 일본뇌염 생백신만은 다른 생백신과 동시접종을 해서는 안되며 4~6주 간격을 두고 접종해야 합니다
일본 뇌염 접종은 세 번은 꼭 맞혀야 효과가 있으며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조심하고 예방접종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독감 예방접종
감기와는 전혀 다른 병인 독감은 열이 나고 팔다리가 쑤시고 소아가 잘 안 되고 머리와 배가 아프며 합병증이 잘 생기므로 병원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12월에서 3월 사이에 유행하는 독감은 접종 후 2주부터 항체가 생기고 1년 정도 효과가 지속되므로 9월에 1차 접종하고 10월에 2차 접종을 하면 됩니다
독감접종을 맞아야 하는 사람들
- 호흡기 질환에 잘 걸리는 사람
- 병약한 사람
- 50세 이상인 사람
- 생후 6개월~2세 아이들
뇌수막염 예방접종
해모필루스 인플루엔자 b형 백신인 Hib성 뇌수막염 접종을 일반적으로 뇌수막염 예방접종이라고 합니다
해모필루스 인플루엔자는 뇌수막염, 폐렴, 패혈증, 후두염, 관절염 등의 위험한 병을 일으키기 때문에 모두 접종하고 있으며 맞으면 이상 반응도 적고 거의 예방되는 안전한 접종입니다
생후 2개월 때 DPT 접종 시 같이 접종하고 생후 6주 이전이거나 만 5세가 지나면 접종하지 않습니다
A형 간염 예방접종
돌부터 접종 가능하며 35세 이하 어른들도 항체가 없으면 예방접종이 권장되고 있습니다
A형 간염은 아이들이 앓으면 가볍게 지나가지만 어른이 앓게 되면 심각한 후유증을 남길 수 있습니다
A형 간염은 구토, 발열, 황달 증상이 나타나며 전염성이 높은 바이러스가 간을 공격하는데 음식물을 통해서 전염이 됩니다
이상 아기 예방 접종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출처 : 삐뽀삐뽀 119 소아과